[2018 알짜 투자뉴스]
미국서 18조 매출
기대 신약,
바이로메드.이연제약
유전자치료제 ‘VM202’의 특허·생산
권리를 놓고 바이로메드 (204,700원▼ 4,800 -2.29%)와
이연제약 (19,950원▼ 50 -0.25%)의 갈등
이 극으로 치닫고 있다.
20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양사는 대한중재상사원에서
유전자치료제 VM202의 국내외 특허
권리 소유권에 대한 지분
다툼을 하면서 향후 상업화
시 생산권을 염두에 둔 장외
신경전까지 벌이는 중이다.
[2018 알짜 투자뉴스]강남 아파트값 15주만에 반등
[2018 알짜 투자뉴스]AJ렌터카 링커블 인수로 상승할까?
[2018 알짜 투자뉴스]제일제강 러시아 보물선 관련주 상한가 하한가
[2018 추천여행지]워터파크의 끝판왕 캐비지(케리비안베이 지~) 할인정보 및 소개
[2018 추천여행지]웅진플레이도시 워터파크 할인정보 및 소개
[2018 추천 여행지]일본 벳푸 지옥여행으로 유명한곳
[2018 추천여행지] 여행 고수들 따라하기 (일주일 해외여행 계획하기)
갈등의 발단은 2004년 1월
체결한 ‘VM202 공동 연구개발
및 상용화 계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바이로메드는 VM202
국내 임상에 필요한
개발 비용을 지원받고,
이연제약은 VM202 국내 판권과
해외 원료 독점 공급권을
갖기로 했다.
14년이 흘러 VM202가
미국에서 허가 전 최종 임상시험
단계인 임상 3상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되자 이연제약은
2017년 11월 과거 계약사항에
따라 VM202에 대한 특허권
지분 50%와 해외 원료
공급권을 행사하기 위한
자료를 요구하는 소송을 시작했다.
이연제약은 올해 초부터
그동안 보유해 온 바이로메드
주식도 처분하기 시작했다.
현재 이연제약이 보유한 바
이로메드 주식은 단 10주이다.
바이로메드는 이제 이연제약의
주식 매입에 따른 경영참여 등
불확실성이 사라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대량 주식 매각으로 회사
흔들기가 목적이 아니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연제약은 올해
상반기 내 바이로메드
보유주식 4만6000주를 처분했으며,
이달 초 바이로메드 지분
56만944주(지분율 3.5%)을
장외거래로 제3자에게 넘겼다.
바이로메드 주식 매각으로
이연제약은 약 1100억원의
수익을 거뒀다.
지분 관계가 정리되자
이번에는 바이로메드가 지난
1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있는 DNA 생산시설을
인수하며 이연제약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연제약이 현재 갖고 있는 VM202
해외 원료 공급권은 이연제약이
미국 임상시료를 공급해야한다는
등의 여러 조건이 갖춰져야
행사할 수 있는 권리다.
이번 인수로 바이로메드는
이연제약이 VM202 허가에
필요한 원료 생산을 하지 못할 경
우, 지금까지 임상시료를 생산한
시설에서 상업용 제품 생산까지
허가를 받을 수도 있게 됐다
. 이 경우 이연제약은 해외 원료
공급권을 행사하기 위해 현재
임상용 VM202 제품과
이연제약이 생산 제품이
동일하다는 사실을 해외
보건당국에 별도로 입증해야 한다.
이연제약은 19일 바이로메드의
DNA 생산시설 인수가 상업
생산으로 이어져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이연제약은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바이로메드가 당사와 계약의무인
기술 이전을 무시하고
상업생산을 기획한다면
계약 자체를 무시하는
행위”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바이로메드는
VM202의 임상 3상이 거의 종료되어
가는 상황이라 기술이전, 판매권
이전 협상을 위해서는 생산 문제가
우선 정리돼야 했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바이로메드가 VM202의
기술이전이나 미국 내 판매 계약을
체결하면 이연제약은
해외 원료 독점 공급권을
유지하지 못한 계약불이행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 지를
또 다시 다퉈야 한다.
현재 이연제약은
VM202 생산을 위해 충북
충주에 약 800억원 규모의 유전자치료제
생산공장을 짓고 있다.
공장 완공 예정시기는
2020년 9월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경우 임상 3상에서 허가심사
과정 중에 생산시설을 확인하기
때문에 이연제약은 사실상 임상3상
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생산공정
을 마쳐야 온전히 해외 원료 독점
공급권을 행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바이로메드 관계자는
“이번 미국 DNA 생산시설 인수
는 이연제약이 갖고 있는 해외 원료
공급권과 관계가 없다”면서
“이연제약의 특허권 지분 50%
요구 등은 기존 계약을 확대 해석하고
계약 범위를 넘어서는 주장이라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라고 밝혔다.
한편 VM202는 난치성
말초 혈관 및 신경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유전자(DNA) 치료제이다.
이 약은 당뇨병성 신경병증과
난치성 족부궤양 치료를 목적으로
미국에서 임상 3상과 임상 2상(루게릭병)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허혈성
심장질환을 대상으로 임상2상이
진행 중이다.
바이로메드가 당뇨병성 신경병
증 치료제로 VM-202를 미국에
출시하면 연간 약 18조원의 매출액을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8 알짜 투자뉴스]강남 아파트값 15주만에 반등
[2018 알짜 투자뉴스]AJ렌터카 링커블 인수로 상승할까?
[2018 알짜 투자뉴스]제일제강 러시아 보물선 관련주 상한가 하한가
[2018 추천여행지]워터파크의 끝판왕 캐비지(케리비안베이 지~) 할인정보 및 소개
[2018 추천여행지]웅진플레이도시 워터파크 할인정보 및 소개
[2018 추천 여행지]일본 벳푸 지옥여행으로 유명한곳
[2018 추천여행지] 여행 고수들 따라하기 (일주일 해외여행 계획하기)
'1.돈버는 강의.자료(Money) > 알짜투자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알짜 투자뉴스]페이스북 페북 하루 134조 잃었다.가치 급락 (0) | 2018.07.28 |
---|---|
[2018 알짜 투자뉴스]바이오 산업의 불확실한 미래. (0) | 2018.07.25 |
[2018 알짜 투자뉴스]강남 아파트값 15주만에 반등 (0) | 2018.07.24 |
[2018 알짜 투자뉴스]삼성전자 SK하이닉스 부진 (0) | 2018.07.23 |
[2018 알짜 투자뉴스]서울 아파트값 상승.전세 반등 (0) | 2018.07.22 |